컨텐츠상세보기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 읽기 (커버이미지)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 읽기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심재원 지음 
  • 출판사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출판일2022-07-14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프랑스 철학의 왕 푸코와 그의 모닝빵

“푸코의 작품은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다(L'œuvre de Michel Foucault est une des plus importantes de ce temps).”
-장 라크루아, 「휴머니즘의 종말?」, 『르 몽드』, 1966.6.9.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은 출간과 동시에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이 책의 인기는 일종의 유행이었고, 푸코는 이 책과 더불어 프랑스 철학계의 스타가 되었다. -혹은 혹자에 따르면 프랑스 철학의 왕좌에 올랐다- 모닝빵 같은 푸코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푸코의 『말과 사물』은 거침없이 팔려 나갔다. 위에서 인용한 장 라크루아의 평가나, “인상적인 작품”이라는 로베르 캉테르의 평가, “우리는 『말과 사물』이 새로운 사상에 대한 위대한 책이라고 생각한다”는 질 들뢰즈의 평가가 『말과 사물』이 당시에 가졌던 위치를 잘 표현해 준다. 물론 이 책이 모든 이로부터 찬사를 받은 것은 아니었다. 우리가 잘 아는, 사르트르로부터는 반발을 사기도 했다. 푸코는 “사르트르는 내 책을 읽기에는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다”며 차갑게 응소했지만 말이다. 어쨌든 이 책의 성공이 푸코의 성공을 가져왔다는 점은 명확하다. 그리고 이 책이 푸코의 책 중 중요한 책에 손꼽힐 것이라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왜 그처럼 대단한 인기를 끌었단 말인가?

인간과학의 고고학, 『말과 사물』

『말과 사물』은 분명히, 쉽사리 읽어내기에는 어려운 책이다. 그렇다면 우리에겐 이토록 어려운 책이 프랑스에서 그렇게 큰 인기를 끌었던 건 프랑스인과 우리의 철학적 격차가 그처럼 크다는 걸 의미하는 것일까? 그런 이유는 아마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원어와 번역어의 어쩔 수 없는 한계로 인한 전달의 어려움 때문일까? 물론 어느 정도 어려움은 있을 테지만, 단순히 그런 이유도 아닐 것이다. 그보다는 오히려, 앞서 언급한 푸코와 그의 책에 대한 높은 평가와 그전부터 불고 있었던 구조주의의 유행 덕으로 해석하는 게 적합해 보인다. 푸코는 후일 구조주의자로 분류되는 것을 거부했지만, 이 시기 푸코는 구조주의에 가까운 견해를 펼쳤다.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각 시대를 지배했던 인식 틀, 에피스테메의 모습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그가 선택한 것은 ‘고고학’이었다. 『말과 사물』에 인간과학의 고고학이라는 부제가 붙은 것은 그러한 이유였다. 그렇다면 푸코는 왜 고고학을 선택했을까? 그것은 푸코가 “지식의 ‘공간’ 내부에서 경험적 인식의 다양한 형태를 야기시켰던 배치”에 대하여 논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푸코의 ‘고고학’은 유럽 근대사상사를 삼분하고, 근대적 인간을 탐구하며 ‘인간의 종언’을 선언한다. 그렇다면 푸코의 고고학은 왜 이렇게 진행되었을까? 이 책,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 읽기』는 푸코와 그의 모닝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파리8대학 철학 석사(장 카바예스 주제), 파리10대학 철학 박사(미셸 푸코 주제)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 연구원이다.
주요 논저로는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읽기』, 「미셸 푸꼬의 미시 권력론」, 「미셸 푸꼬와 자유주의」, 「미셸 푸꼬와 헬레니즘」, 「푸꼬 대 버틀러」 등이 있다.

목차

1장 전기적 맥락



2장 텍스트 읽기

서론

1. 재현의 질서

2. 언어

3. 분류

4. 교환

5. 재현의 한계

6. 새로운 경험성들

7. 인간과 그의 분신들

8. 인간과학



3장 두 지성사적 배경

1. 칸트

2. 정신분석



4장 방법론: 고고학적 기술(記述)

1. 고고학과 지성사

2. 기원적인 것과 규칙적인 것

3. 모순들

4. 비교적 사실

5. 변화와 변형들



5장 첨단 과학사, 그리고 『말과 사물』의 고전적 경계

1. 과학혁명

2. 계몽시대의 과학

3. 생명의 의미

4. 이론의 전망

5. 맺음말



참고문헌

한줄 서평